러시아가 북아프리카와 중동의 전통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면서 유럽연합(EU) 밀 수출이 서아프리카로 이동하고 있다.
무역업자들은 2024/25 시기 EU 일반 밀(연밀) 수출이 러시아의 가격 경쟁력과 프랑스의 비 피해 수확 여파로 전년 대비 30% 감소했다고 전했다.
EU 데이터에 따르면, 나이지리아가 EU 밀 수출의 주요 목적지로 부상했으며, 한때 EU 최대 시장이었던 알제리는 이제 5위로 밀려났다.
서아프리카로 이동하는 EU 밀 수출
리투아니아 곡물 가공업자 및 무역업자 협회의 카롤리스 시마스 회장은 발트해 연안 국가의 밀 수출이 전통적 시장에서 벗어나 더 서쪽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발트해 연안 국가의 밀 수출의 약 75%가 현재 아프리카로 향하고 있으며, 나이지리아와 남아프리카공화국이 기존의 주요 시장인 이란과 사우디아라비아를 대체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지역은 현재 러시아가 대부분 공급을 맡고 있다.
폴란드 역시 비슷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폴란드 아그로의 곡물 및 유지종자 부문 상업 책임자인 노버트 슈틀록에 따르면, 과거 대형 파나막스 선박을 이용해 사우디아라비아로 밀 수출의 절반을 보냈던 폴란드는 이제 소형 선박을 통해 주로 서아프리카로 밀을 운송하고 있다고 밝혔다.
러시아의 영향력, 모로코 시장에서 EU와 충돌
프랑스의 경우, 알제리로의 수출이 크게 줄어들면서 국영 농업청 프랑스아그리메르는 2024/25년 프랑스 연밀 수출 전망치를 작년 대비 62% 감소한 수준으로 하향 조정했다.
프랑스와 독일은 알제리 시장에서 러시아의 지배력에 대응하기 위해 모로코로의 판매를 늘렸으나, 러시아 역시 모로코 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하며 모로코는 EU에서 네 번째로 큰 밀 수출국으로 자리 잡았다.
트레이더들은 러시아가 수출을 줄이고 흑해 지역의 주요 공급처인 우크라이나의 공급이 감소할 경우, EU의 밀 수출이 다시 활기를 찾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폴란드의 수출은 농민들이 저장 재고를 방출하면서 3월부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번 시즌 초 부진에도 약 200만 톤의 수출이 필요할 것으로 슈틀록은 전망했다.
[기획-ASEAN 트레이드] 태국, 연말 재정 집행·수출 호조에 성장률 상향…“내년엔 수출 둔화 불가피”
[기획-ASEAN 트레이드] 네팔 수출 호조 속 전략 품목 비중 2% 감소…‘콩기름 효과’ 한계 드러나
[기획-무역 FOCUS] 튀르키예, 수출 3,900억 달러 돌파…공화국 102주년 맞아 ‘역대 최고치’
[기획-MENA 다이버전스] 이란-오만 교역, 상반기 11% 증가…하반기에도 성장세 지속 전망
[기획-무역 FOCUS] 아마존, 인도 중소기업 수출 200억 달러 돌파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중국 교역, 올해 사상 최대치 전망
미·중 정상회담 앞두고 커지는 기업 불확실성…韓 주요 업계 긴장 고조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즈, 中 배터리 장비 긴급 조달…수출 통제 전에 ‘선배송’ 돌입
노르웨이, 전기차 도입률 90% 돌파…글로벌 친환경 자동차 전환 주도
[기획-무역 FOCUS] 튀르키예, 1~9월 산업 수출 사상 최대 1,432억 달러
![[기획-글로벌푸드체인] EU 밀 수출, 서아프리카로 이동…러시아의 시장 지배력 영향](https://img.intrad.co.kr/resources/2024/11/14/pw3kQzmESg1gar2A7pFlkybW5BxFPpPsd3DAgyx0.jpg)
![[기획-글로벌푸드체인] EU 밀 수출, 서아프리카로 이동…러시아의 시장 지배력 영향](https://img.intrad.co.kr/resources/2024/11/14/iqtvfHs9szwImUSVG2QPznWjzZOYokx3VKHwmW6e.png)
![[기획-글로벌푸드체인] EU 밀 수출, 서아프리카로 이동…러시아의 시장 지배력 영향](https://img.intrad.co.kr/resources/2024/11/14/4vgYacewFULoRrNweoMLJparc8NMr6Z5WSkn4KWX.png)
![[기획-글로벌푸드체인] EU 밀 수출, 서아프리카로 이동…러시아의 시장 지배력 영향](https://img.intrad.co.kr/resources/2024/11/14/Uvrjz8OCDngnuTsrxvEkeeTZV57Cqo2qXBG1tjKB.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