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채널

[기획-관세전쟁의 포화] 미·브라질 통상 마찰 격화…브라질 수출업계 ‘비관 국면’ 진입

이찬건 2025-09-02 10:55:33

미국, 브라질산 제품에 최대 50% 관세 부과
긴급 수출 신용 지원책 가동
절반 이상 수출품 관세 충격
수출 위축 전망 확산
[기획-관세전쟁의 포화] 미·브라질 통상 마찰 격화…브라질 수출업계 ‘비관 국면’ 진입
MSC

브라질 수출업계가 미국의 관세 폭탄에 직격탄을 맞으며 비관적 전망으로 돌아섰다. 브라질 산업연맹(CNI)이 발표한 ‘수출기업가 신뢰지수’는 지난 6월 50.2에서 8월 45.6으로 급락했다. 지수가 50 아래로 떨어지면 경기 비관을 뜻하는 만큼, 업계 분위기가 위축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체 산업 신뢰지수도 46.1로 8개월 연속 부진을 이어갔다.

[기획-관세전쟁의 포화] 미·브라질 통상 마찰 격화…브라질 수출업계 ‘비관 국면’ 진입
수출기업가 신뢰지수와 전체 산업 신뢰지수 추이 (50 이하 = 비관 영역)

절반 이상 수출품 관세 충격

미 백악관은 지난 7월 30일 행정명령을 통해 브라질산 주요 공산품에 기존 관세에 더해 4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8월 6일부터 발효된 이번 조치로 미국행 브라질산 제품의 절반 이상이 즉시 가격 경쟁력을 잃게 됐다.

브라질 통상부(MDIC)에 따르면 전체 대미 수출의 44.6%는 약 700개 예외 품목 덕분에 추가 관세를 피했지만, 35.9%는 50% 관세 전면 적용을, 19.5%는 기존 철강·알루미늄·구리(섹션 232) 관세 적용을 받게 됐다.

CNI 조사에서 기업들의 ‘기대 지수’는 8월 47.8로 하락했고, 수출 물량 전망은 46.6까지 떨어졌다. 이는 2년 만에 처음으로 수출 감소를 예상한 결과다.

지표 하락은 곧 고용 축소와 투자 위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업계는 이미 미국 시장에서의 가격 재조정, 대체 시장 개척, 손실 흡수 등 어려운 선택지를 검토하고 있다.

[기획-관세전쟁의 포화] 미·브라질 통상 마찰 격화…브라질 수출업계 ‘비관 국면’ 진입
미국 수입 관세 적용 비중 (면제·50% 관세·기존 철강·알루미늄 관세)

정부, 긴급 자금 지원 나서

브라질 정부는 긴급 대응책으로 ‘브라질 주권 계획(Plano Brasil Soberano)’을 발표했다.

수출보증기금에서 300억 헤알(약 57억 달러)을 투입해 수출 신용을 지원한다는 내용이다. 국영개발은행(BNDES)은 자체 자금을 더해 총 400억 헤알(약 76억 달러) 규모의 지원을 집행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세제 혜택 기한을 연장하고, 수출 환급제(Reintegra)를 확대했으며, 일부 농산물을 공공 프로그램용으로 직접 매입하겠다고 발표했다.

[기획-관세전쟁의 포화] 미·브라질 통상 마찰 격화…브라질 수출업계 ‘비관 국면’ 진입
MSC

수출 의존 리스크 드러나

브라질 수출업계는 내수 부진을 보완하기 위해 해외 시장 의존도를 높여왔지만, 이번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로 구조적 취약성이 드러났다. 미국은 중국에 이어 브라질의 두 번째 교역 대상국으로, 수출길 차단은 곧 매출 감소로 직결된다.

정부의 신용 지원은 시간을 벌어주는 역할에 불과하며, 결국 생산 현장의 비용·계약·시장 선택이 향후 브라질 산업의 향방을 좌우할 전망이다.

Copyright ⓒ 국제통상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