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채널

[기획-글로벌푸드체인] 베트남 농업, 수출 600억 달러 돌파…세계 시장에서 입지 강화

이한재 2025-09-10 23:59:16

무역 흑자 신기록…농업이 베트남 경제의 견인차로
메콩델타 종자 혁신, 쌀 생산성과 수출 모두 최고치
커피·수산물 수출 급성장…토종 품종이 경쟁력 강화
친환경 전환과 글로벌 브랜드 전략, 세계 시장 공략 가속
[기획-글로벌푸드체인] 베트남 농업, 수출 600억 달러 돌파…세계 시장에서 입지 강화
Loc Troi Group

베트남 농업이 전통적 생계 산업에서 국가 경제를 이끄는 ‘캐시카우’로 변신하고 있다. 벼농사와 커피 재배를 중심으로 한 농업 수출이 600억 달러를 넘어섰고, 이는 베트남의 무역수지 흑자를 견인하는 핵심 동력이 되고 있다.

2024년 베트남 농업은 179억 달러의 무역 흑자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보다 46.8% 급증한 수치로, 국가 전체 무역 흑자 248억 달러의 상당 부분을 차지했다.

농업이 이제 단순한 기초 산업을 넘어, 국가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분야로 자리 잡았음을 보여준다.

메콩델타의 쌀 혁신

농업의 심장부인 메콩델타에서는 종자 기술 발전 덕분에 쌀 생산성이 크게 향상됐다. 메콩델타 벼연구소 쩐 응옥 탁 소장은 “현재 재배되는 벼 대부분은 교배 육종과 생명공학 기술을 거쳐 병충해와 염분, 기후 변화에 강한 품종들”이라고 설명했다.

이 같은 품종 혁신 덕분에 2024년 베트남 벼 생산량은 4,370만 톤에 달했고, 쌀 수출은 918만 톤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고품질 자포니카 쌀과 프리미엄 품종이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기획-글로벌푸드체인] 베트남 농업, 수출 600억 달러 돌파…세계 시장에서 입지 강화
농산물과 공산품 비중 비교 (비율 및 금액)

커피·수산물, 성장의 양 날개

과일은 연중 재배 품종 확대 덕분에 국내외 시장에 안정적으로 공급되고 있다. 양식업에서는 흰다리새우, 메기(트라피시), 틸라피아가 ‘10억 달러 브랜드’로 성장하며 글로벌 수산물 수요를 공략하고 있다.

커피 산업 역시 체질을 바꿨다. 중앙고원 농림과학연구소 판 비엣 하 부소장은 “과거 외국산 저수확 품종에 의존했지만, 수십 년 연구 끝에 자체 로부스타 품종을 개발했다”고 말했다. 현재 헥타르당 4~7톤, 많게는 10톤까지 수확이 가능하며, 신규 재배지의 90% 이상이 토종 품종으로 교체됐다.

[기획-글로벌푸드체인] 베트남 농업, 수출 600억 달러 돌파…세계 시장에서 입지 강화
상위 5개 FTA 협정별 활용 규모 (억 달러 기준)

친환경 전환과 글로벌 무대 확대

메콩델타 일부 지역은 저탄소·고품질 쌀 재배 모델을 시범 도입해 농민과 기업의 호응을 얻고 있다. 이는 친환경 쌀이 세계 수출 시장을 주도할 기반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커피 산업도 레인포레스트 얼라이언스, 4C 등 국제 인증을 확보하며 ‘저탄소 커피’로 변신하고 있다. 이는 지속 가능한 소비 트렌드와 맞물려 베트남 농업 수출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는다.

농림수산부 푹 득 티엔 차관은 “베트남 농림수산물은 현재 200여 개국에 진출해 있으며, 미국·중국·일본·EU·중동 등 주요 시장에서 확고한 입지를 다지고 있다”고 밝혔다.

[기획-글로벌푸드체인] 베트남 농업, 수출 600억 달러 돌파…세계 시장에서 입지 강화
머스크

글로벌 브랜드로 도약

베트남 정부의 장기 전략은 생산·가공·소비를 잇는 가치사슬을 구축하고, 품질 관리·인증·추적 시스템을 강화하는 데 있다.

목표는 농산물 글로벌 브랜드를 육성해 세계 농업 지도 위에 베트남의 이름을 확실히 새기는 것이다. 이는 단순한 수출 확대를 넘어, 국가 이미지와 산업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전략적 과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Copyright ⓒ 국제통상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