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르키예 제조업체들의 수출 경기가 10월 들어 1년 반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회복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교역국들의 수요 여건이 개선되면서 수출 전망이 뚜렷하게 밝아졌다는 분석이다.
이스탄불상공회의소(ISO)가 발표한 ‘제조업 수출 경기지수(Manufacturing Export Climate Index)’에 따르면 10월 지수는 52.4로, 9월(51.7)보다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5월 이후 가장 강한 개선세를 의미하며, 지수가 50을 넘으면 수출 여건이 개선되고, 50 미만이면 악화를 뜻한다.
ISO는 “이번 결과는 22개월 연속 외부 수요 여건이 개선됐음을 보여준다”며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튀르키예 제조업체들의 수출 회복력이 견조함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수출 경기 회복세, 주요 시장 수요가 견인
S&P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의 경제 담당 이사 앤드루 하커(Andrew Harker)는 “10월 들어 주요 교역국의 성장세가 뚜렷하게 강화됐다”며 “이는 지난 1년 반 동안 가장 뚜렷한 수출 수요 개선으로 이어졌다”고 평가했다.
그는 또 “이 같은 긍정적인 흐름이 향후 튀르키예 기업들의 실적 개선과 2025년의 안정적 마무리에 기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공식 통계에 따르면 10월 튀르키예의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2.4% 증가한 240억 달러로, 10월 기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같은 기간 수입은 6.6% 늘어난 314억 달러를 기록해 무역적자는 24% 확대된 74억 달러로 집계됐다.
최근 12개월 누적 수출액은 2,702억 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으며, 지난해 전체 수출은 2,620억 달러였다. 튀르키예 정부는 올해 목표치를 약 2,800억 달러로 설정하고 있다.
독일·미국·이탈리아, 경기 회복세 뚜렷
ISO 조사에 따르면 10월에는 독일, 미국, 이탈리아 등 튀르키예의 주요 교역국에서 경제활동이 전반적으로 활기를 되찾았다. 세 나라의 수출 비중은 튀르키예 전체 제조업 수출의 약 20%를 차지한다.
독일은 2년 반 만에 가장 빠른 생산 증가세를 보였고, 미국과 이탈리아 역시 각각 2개월·19개월 만에 최고 성장률을 기록했다. 영국(튀르키예의 3대 수출국)은 9월의 소폭 감소세에서 반등해 다시 성장세로 전환됐다.
상위 5개 교역국 중 프랑스만이 2월 이후 가장 빠른 경기 위축을 보였다.
유럽 외 지역은 호조, 동유럽은 둔화
유로존 내에서는 스페인이 올해 초 이후 가장 강한 확장을 보였으며, 네덜란드의 성장세는 다소 둔화했지만 여전히 견조한 수준을 유지했다.
유럽 외 지역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가 조사 대상국 가운데 가장 가파른 생산 증가를 기록했으며, 태국과 인도를 모두 앞질렀다.
아랍에미리트(UAE) 역시 9월보다 다소 둔화됐지만 여전히 견조한 성장세를 유지했다.
반면 루마니아, 폴란드, 카자흐스탄, 체코 등 동유럽 지역은 전반적으로 생산 감소세를 보였다.
특히 대만은 조사 대상국 중 가장 큰 위축을 보였지만, 감소 속도는 5개월 만에 가장 완만해졌다.
[기획-무역 FOCUS] 필리핀·프랑스, 미 관세 여파 속 양국 교역 확대 모색
[기획-무역 FOCUS]튀르키예 제조업 수출 경기, 1년 반 만에 최고 수준 회복
[기획-MENA 다이버전스] 이란 “우즈베키스탄, 중앙아 연결 핵심 허브”…양국 교역 58% 급증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3분기 GDP 8.23% 급등…수출·제조업 호조가 견인
[기획-MENA 다이버전스] 두바이, 상반기 4.4% 성장…비석유 산업 중심 ‘다변화 가속’
[기획-무역 FOCUS] 중국 수출 8개월 만에 감소…대미 수출 급감이 ‘직격탄’
[기획-아프리카블록] 모로코 항만 물동량 11.2%↑…교역 허브로 부상
[기획-ASEAN 트레이드] 필리핀 의류 수출, 美 관세 압박에도 올해 10억 달러 달성 전망
[기획-ASEAN 트레이드] 태국, 올해 수출 전망 최대 10.5% 상향…“저부가가치 품목 중심, 실질 성장 제한적”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10월 수출 전월 대비 1.5% 감소…미국행 수출도 관세 여파로 하락
![[기획-무역 FOCUS]튀르키예 제조업 수출 경기, 1년 반 만에 최고 수준 회복](https://img.intrad.co.kr/resources/2025/11/12/FI8mHzr2cg6PoD6aQw93TX6ctv7aOb1T4ApD51pI.jpg)
![[기획-무역 FOCUS]튀르키예 제조업 수출 경기, 1년 반 만에 최고 수준 회복](https://img.intrad.co.kr/resources/2025/11/12/r6prp7ujgWHaWyotDCacGAKhW9A1aWBDRXr1n0C5.png)
![[기획-무역 FOCUS]튀르키예 제조업 수출 경기, 1년 반 만에 최고 수준 회복](https://img.intrad.co.kr/resources/2025/11/12/LUxqRqnEQwv6YNWFQFZ2XP4gbJnrLMxB9mcKokku.png)
![[기획-무역 FOCUS]튀르키예 제조업 수출 경기, 1년 반 만에 최고 수준 회복](https://img.intrad.co.kr/resources/2025/11/12/tdXv1vZ3KBRCBVQKS0ZX4Tc0HacEBcgBBHGj0TZE.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