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경제가 2025년 1분기에 예상을 웃도는 성장률을 기록했다. 미국의 관세 부과를 앞두고 수출과 제조업 생산이 일시적으로 늘어난 것이 주된 원인으로 분석된다.
독일 연방 통계청은 1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전 분기 대비 0.4% 증가했다고 밝혔다. 당초 발표된 예비치(0.2%)보다 두 배 높은 수치다.
앞서 독일 경제는 2024년 4분기에 0.2% 역성장을 기록해 경기 침체 우려가 제기된 바 있다. 통상 침체는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기준으로 판단한다.
루스 브랜드 통계청장은 “3월 제조업 생산과 수출이 처음 예상보다 훨씬 강한 흐름을 보였다”며 “미국 수입업자들이 관세 부과 전에 서둘러 물량을 확보하려 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유로존보다 높은 성장률…“일회성 반등일 수도”
이번 성장은 같은 기간 유로존 평균 성장률(0.3%)을 웃돌며, 최근 부진했던 독일 경제가 모처럼 유럽 최대 경제대국으로서 존재감을 드러낸 순간으로 평가된다.
ING의 글로벌 매크로 책임자인 카스텐 브르제스키는 “이번 수치는 독일 경제가 여전히 긍정적인 방향으로 놀라움을 줄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이번 반등은 일회성일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이번 1분기 성장률은 독일 경제가 0.6%를 기록했던 2022년 3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향후 전망에 대해서는 신중한 분석이 이어진다. 함부르크 상업은행(HCOB)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사이러스 드 라 루비아는 “관세를 앞두고 발생한 선구매 효과가 2분기에는 사라질 가능성이 높아, 수출과 제조업의 기세가 다소 누그러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제조업 회복·임금 상승이 소비 지지
다만 함부르크 상업은행(HCOB)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사이러스 드 라 루비아는 “5월까지의 선행지표를 보면 제조업에 경기순환적 회복의 조짐이 일부 감지되고 있으며, 실질 임금이 오르면서 소비 또한 예상에 부합하는 수준으로 회복되고 있다”며 낙관적인 시각도 내비쳤다.
또 “이러한 점들을 종합하면 상승 흐름이 계속될 수 있는 이유는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반면, 브르제스키는 단기적으로는 부정적인 요인이 더 클 수 있다고 본다. 그는 “비록 산업 생산에 긍정적인 신호로 여겨지는 재고 사이클 전환의 초기 징후가 나타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긍정보다 부정이 우세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캐나다, 3월 소매판매 0.8% 상승…소비 회복세 속 4월에도 증가세 전망
인도네시아, 해운 산업으로 ‘골든 2045’ 비전 실현 박차…GDP 7% 기여하는 해양 부문에 집중
[기획-ASEAEN 트레이드] 태국 수출 ‘깜짝 성적’…美시장 덕에 4월 두 자릿수 성장
[기획-무역 FOCUS] 독일, 1분기 깜짝 성장…미국 관세 앞두고 수출·제조업 급증
[기획-ASEAN트레이드] 말레이 4월 무역 18.2% 급증…수출 호조에 60개월 연속 흑자
[기획-관세전쟁의 포화] 美 관세 앞서 이미 흔들…싱가포르, 기술적 침체 경고
[기획-무역 FOCUS] AI 특수에 대만 수출 ‘사상 최대’…4월 주문 564억 달러 돌파
캄보디아, 49% 미국 관세에 경제 타격 우려…워싱턴과 무역협상 재개
말레이시아 1분기 경제성장 둔화…무역 긴장·관세 불확실성 속 성장 전망 하향 조정 예고
[기획-관세전쟁의 포화] 무역 긴장 여파…말레이시아 1분기 성장률 4.4%로 둔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