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채널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2분기 성장률 7.96%…수출 호조에 미·베 무역합의 ‘청신호’

이찬건 2025-07-07 11:11:14

관세 인하 발표 직후 성장세 가속
수출 18%↑…무역 흑자 44억 달러
미국, 베트남산 제품에 20% 관세로 조정
고부가가치 산업 전환 가능성 제기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2분기 성장률 7.96%…수출 호조에 미·베 무역합의 ‘청신호’
MSC

베트남의 올해 2분기 경제성장률이 7.96%를 기록하며 1분기보다 더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강력한 수출 실적과 함께 최근 미국과의 무역 협정 체결이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번 수치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베트남 제품에 대해 최대 46%까지 부과될 수 있었던 관세를 20%로 낮추겠다고 발표한 직후 발표됐다. 미국은 베트남의 최대 수출 시장으로, 관세 인하 조치는 수출 의존도가 높은 베트남 경제에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

베트남 국가통계청(NSO)에 따르면, 4~6월 국내총생산(GDP)은 전년 동기 대비 7.96% 증가해 1분기의 6.93%를 웃돌았다. 연간 목표치인 8%에는 소폭 미치지 못했지만, 상반기 경제 흐름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국가통계청은 “올해 상반기 경제 성과는 글로벌 및 지역 경제의 불확실성 속에서도 비교적 양호했으며, 정부의 성장 목표에 근접했다”고 밝혔다.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2분기 성장률 7.96%…수출 호조에 미·베 무역합의 ‘청신호’
베트남 분기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

무역 흑자 확대… 산업 생산·물가도 상승세

2분기 수출은 전년 대비 18.0% 증가한 1,169억 3,000만 달러, 수입은 18.8% 증가한 1,125억 2,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이로써 44억 1,000만 달러 규모의 무역 흑자를 기록했다. 산업 생산은 같은 기간 10.3% 증가했으며, 6월 소비자물가는 3.57% 상승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과 베트남이 무역 합의에 도달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베트남산 제품에 20% 관세가 부과되며, 제3국을 경유해 베트남을 통해 반입되는 제품에는 40%의 관세가 매겨진다. 반면 베트남은 미국 제품을 무관세로 수입할 수 있게 된다.

당초 46%에 이를 수 있었던 관세를 크게 낮춘 이번 조치에 대해 베트남 정부는 “기업 신뢰를 높일 수 있는 조치”라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현재 협상단은 세부 조율을 이어가고 있으며, 기업들은 조항의 구체적 내용을 확인한 뒤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2분기 성장률 7.96%…수출 호조에 미·베 무역합의 ‘청신호’
베트남 무역 데이터 - 2025년 2분기 (억 달러 기준)

글로벌 공급망 속 베트남의 역할 주목

베트남은 삼성전자, 폭스콘 등 글로벌 제조 기업이 다수 진출해 있는 대표적 생산기지다. 지난해 미국은 베트남과 1,230억 달러 규모의 무역 적자를 기록해, 국가별 적자 규모 중 최상위권에 올랐다.

전문가들은 40% 관세가 주로 베트남을 경유해 수출하는 중국 기업들을 겨냥한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은 베트남의 최대 교역국이자, 제조업 분야의 핵심 자재 공급국이다.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2분기 성장률 7.96%…수출 호조에 미·베 무역합의 ‘청신호’
MSC

시장조사기관 피치 솔루션스는 베트남의 수출과 투자가 올해 하반기까지 강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2025년 베트남 GDP 성장률 전망치인 6.4%에 대한 상향 가능성도 제기했다.

“새로운 20% 관세가 부과되면서, 정부는 산업 고도화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이며, 반도체와 같은 고부가가치 품목으로 수출 구조를 전환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드래곤 캐피털의 도미닉 스크리븐 회장은 이번 무역 협정에 대해 “순수하게 긍정적인 조치”라며 “GDP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애초 우려했던 수준보다는 제한적일 것”이라고 평가했다.

Copyright ⓒ 국제통상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