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와 미국 간의 무역 분쟁이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최근 미국 정부는 캄보디아산 일부 수출품에 대해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대해 캄보디아 정부는 강력히 반발하며, 양국 간의 무역 협상이 한층 더 어려워질 전망이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캄보디아의 일부 제품이 부당한 보조금을 받아 가격 경쟁력을 높였다고 판단, 이에 대해 보복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특히 캄보디아산 의류, 신발, 전자제품 등이 이번 조치의 주요 대상이다. USTR은 이번 조치가 미국 내 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불가피한 결정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캄보디아 상무부는 즉각 반발하며, 미국의 관세 부과가 자국 경제에 큰 타격을 줄 것이라고 경고했다.
캄보디아 상무부 대변인은 "미국의 일방적인 결정은 양국의 경제 협력을 저해하고, 캄보디아의 주요 산업에 심각한 피해를 줄 것"이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 무역 기구(WTO)에 제소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캄보디아의 주요 수출품인 의류와 신발 산업은 수백만 명의 고용을 창출하는 중요한 산업이다. 특히 미국 시장은 캄보디아 수출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이번 관세 부과는 캄보디아 경제 전반에 큰 파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현지 전문가들은 이번 무역 분쟁이 장기화될 경우, 캄보디아의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한편, 양국 간의 무역 긴장은 이미 몇 년 전부터 지속되어 왔다. 캄보디아는 중국과의 긴밀한 경제 협력을 통해 성장해 왔으며, 미국은 이에 대해 우려를 표명해 왔다.
특히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캄보디아에 대해 미국은 견제의 목소리를 높여왔다.
미국의 이번 관세 부과 결정은 이러한 배경에서 나온 것으로 분석된다. 양국 간의 무역 분쟁은 단순한 경제적 갈등을 넘어, 정치적, 외교적 문제로 확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전문가들은 미국과 캄보디아가 상호 이익을 고려한 협상 테이블로 돌아오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번 사태가 향후 양국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 캄보디아와 미국은 무역 문제 해결을 위한 대화를 계속 이어나가야 할 것이다.
[기획-ASEAN 트레이드] 태국, 연말 재정 집행·수출 호조에 성장률 상향…“내년엔 수출 둔화 불가피”
[기획-ASEAN 트레이드] 네팔 수출 호조 속 전략 품목 비중 2% 감소…‘콩기름 효과’ 한계 드러나
[기획-무역 FOCUS] 튀르키예, 수출 3,900억 달러 돌파…공화국 102주년 맞아 ‘역대 최고치’
[기획-MENA 다이버전스] 이란-오만 교역, 상반기 11% 증가…하반기에도 성장세 지속 전망
[기획-무역 FOCUS] 아마존, 인도 중소기업 수출 200억 달러 돌파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중국 교역, 올해 사상 최대치 전망
미·중 정상회담 앞두고 커지는 기업 불확실성…韓 주요 업계 긴장 고조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즈, 中 배터리 장비 긴급 조달…수출 통제 전에 ‘선배송’ 돌입
노르웨이, 전기차 도입률 90% 돌파…글로벌 친환경 자동차 전환 주도
[기획-무역 FOCUS] 튀르키예, 1~9월 산업 수출 사상 최대 1,432억 달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