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이 이라크 시장에서의 상업적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향후 3년간 양국 교역 규모를 200억 달러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란–이라크 상공회의소는 소비재·식품·건자재·산업재 등 폭넓은 공급 역량을 기반으로 이 같은 목표 달성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라크, 가장 접근성 높은 시장”…교역 규모 최대 150억 달러
이라크는 인구 5천만 명에 가까운 큰 시장이자 이란과 문화·정치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온 국가다. 이란이 가장 쉽게 진출할 수 있는 수출시장으로 꼽히지만, 최근 이란 내에서는 “상업 시스템의 현대화 없이는 시장을 잃을 수 있다”는 위기감도 제기된다.
야흐야 알에에샤크 이란–이라크 상공회의소 회장은 지난해 공식 교역액이 약 120억 달러, 비공식 교역을 포함하면 150억 달러 규모에 달했다고 밝혔다. 그는 “양국 간 기존 합의만 제대로 이행돼도 200억 달러 목표는 충분히 가능하다”고 말했다.
건자재·식품·농축산물·관광 서비스까지…이란 공급범위 넓어
알에에샤크 회장은 이란이 이라크에 건설자재, 세제·생활용품, 식료품, 농산물, 엔지니어링 서비스, 의료·휴양 관광 서비스 등 매우 다양한 품목을 공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이란은 이라크 소비재 시장의 약 20%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양국 교역은 관세 규정, 표준 인증, 통관 절차, 비자 규정, 기관 간 조율 부족 등 복잡한 행정적 문제로 자주 지연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교역 불균형이 심화될 때 이라크 측이 특정 품목에 갑작스러운 수입 제한을 가하는 사례도 반복된다.
“잠재력은 여전히 크다”…유제품·감자·철강 등이 주력
세예드 타하 호세인 마다니 스마트 거버넌스 싱크탱크 소장은 “이라크 시장 내 이란의 잠재력은 여전히 충분하다”고 진단했다.
그는 유제품을 대표 사례로 들며 “2024년 기준 이란 유제품 수출은 66만 톤, 10억 5,900만 달러 규모로, 절반 이상이 이라크로 향했다”고 밝혔다. 감자도 지난해 대이라크 수출이 1,500만 달러로 지역 전체 수출의 12%를 차지했다며 성장 여지가 크다고 설명했다.
건설자재 역시 여전히 유망 분야로 꼽히지만, 시멘트 등 일부 품목은 10년 전보다 시장 점유율이 낮아진 상태다. 그럼에도 이라크는 지난해 14억 달러어치의 이란산 철강·철 제품을 수입하며 최대 수입국 위치를 유지했다.
“전략 부재로 주변국 시장 잃어”…‘무역 아틀라스’ 공개 예정
마다니 소장은 “이란의 분절된 상업 전략이 주변국 시장을 잃는 결과로 이어졌다”며 정책·정보·수출 지원 체계를 통합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의 연구기관은 수출 대상국 정보와 시장 분석 데이터를 제공하는 ‘이란 무역 아틀라스(Iran Trade Atlas)’를 올해 안에 공개할 계획이다. 정부 관계자·수출기업·연구자 등이 참여하는 전용 행사를 통해 이란의 대외무역 역량 강화 방안도 논의될 예정이다.
[기획-MENA 다이버전스] 이란, 3년 내 대이라크 교역 200억 달러로 확대 추진…“시장 잠재력 아직 충분”
[기획-무역 FOCUS] 중·독 “교역 마찰 끝내자”…양국, 과잉생산·핵심광물 공급망 해법 모색
[기획-무역 FOCUS] 유럽연합, 내년 유로존 성장률 전망 하향…“무역 갈등·지정학 리스크 영향”
[기획-MENA 다이버전스] 이란, 아프리카 수출 두 배 증가… 기술·물류 협력 확대 시동
[기획-무역 FOCUS] 싱가포르 10월 수출 ‘깜짝 성장’… 전자·비전자 모두 두 자릿수 급증
[기획-메르코스코프] 브라질, 대미 관세 충격 속 중국이 구한 ‘수출 균형’…그러나 의존 리스크도 커졌다
[기획-ASEAN 트레이드] 캄보디아, 올해 1~10월 교역액 520억달러 돌파…전년 대비 16%↑
[기획-ASEAN 트레이드] 말레이 3분기 성장률 개선 전망…광업·제조업 회복세 뚜렷
[기획-글로벌푸드체인] 멕시코, 설탕 수입관세 대폭 인상…“국내 공급과잉 차단·산업 보호”
[기획-글로벌푸드체인] 태국, 글로벌 할랄 시장 공략 속도…“아세안 할랄 허브로 도약해야”
![[기획-MENA 다이버전스] 이란, 3년 내 대이라크 교역 200억 달러로 확대 추진…“시장 잠재력 아직 충분”](https://img.intrad.co.kr/resources/2025/11/19/CTD9Qj0W9O3xFks741QSi5ZUPk7P7MF6IF0zitFF.jpg)
![[기획-MENA 다이버전스] 이란, 3년 내 대이라크 교역 200억 달러로 확대 추진…“시장 잠재력 아직 충분”](https://img.intrad.co.kr/resources/2025/11/19/ixIoBoPk1r2XOFy5tkfcrsrgboKOF2VHamYvsURd.png)
![[기획-MENA 다이버전스] 이란, 3년 내 대이라크 교역 200억 달러로 확대 추진…“시장 잠재력 아직 충분”](https://img.intrad.co.kr/resources/2025/11/19/ZLuErBrwsKydkgVddeEZvfsE8K6I1wy1H87AExRc.png)
![[기획-MENA 다이버전스] 이란, 3년 내 대이라크 교역 200억 달러로 확대 추진…“시장 잠재력 아직 충분”](https://img.intrad.co.kr/resources/2025/11/19/OFoUgFOQYV5hurb4Eh2tSi3JeIFfdwHgzOblpC1t.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