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필리핀의 주요 농산물에 대해 보복성 상계관세(Reciprocal Tariffs) 부과를 면제하기로 하면서 필리핀 수출 확대와 일자리 보호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현지 재계가 평가했다.
필리핀상공회의소(PCCI)의 에누니나 망기오 회장은 “이번 면제 조치는 수출업계에 절실한 숨통을 틔워주고, 미국 시장에서 필리핀 제품의 경쟁력 유지에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필리핀산 농산물 19% 상호관세 전격 제외
이번 조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1월 14일 서명한 행정명령에 따른 것이다.
해당 명령에 따라 코코넛, 커피, 차, 열대과일·주스, 코코아, 향신료, 바나나, 오렌지, 토마토, 소고기, 특정 비료 등 필리핀의 핵심 농산물은 19%의 상호관세 적용 대상에서 제외된다.
필리핀은 지난해 이들 농산물 수출로 10억 달러 이상을 벌어들인 바 있다.
프레더릭 고 대통령 경제특별보좌관(재무장관 내정자)은 “관세 면제는 농산물 수출을 직접적으로 끌어올리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농업 분야에 대한 신규 투자를 유도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투자 확대 기대…반도체 등 전략 품목도 면제 적용
농산물 외에도 반도체 제품 역시 미국의 상호관세에서 면제 대상에 포함됐다.
망기오 회장은 “미국이 필리핀의 통상적 입지를 인정하고 지속적으로 협력해주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양국 간 파트너십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PCCI는 무역산업부(DTI)와 협력해 미국과의 무역협상을 계속 지원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필리핀 기업들이 주요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도록 돕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고 내정자는 의류, 여행용품, 가구 등 기타 필리핀 주력 수출품에 대해서도 추가적인 관세 면제를 확보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기획-글로벌푸드체인] 미, 필리핀 농산물 보복관세 면제…“수출 확대·일자리 보호 효과”
[기획-무역 FOCUS] 미국의 새 ‘최대 시장’은 멕시코…수출·수입 모두 판도 변화
[기획-MENA 다이버전스] 이란, 3년 내 대이라크 교역 200억 달러로 확대 추진…“시장 잠재력 아직 충분”
[기획-무역 FOCUS] 중·독 “교역 마찰 끝내자”…양국, 과잉생산·핵심광물 공급망 해법 모색
[기획-무역 FOCUS] 유럽연합, 내년 유로존 성장률 전망 하향…“무역 갈등·지정학 리스크 영향”
[기획-MENA 다이버전스] 이란, 아프리카 수출 두 배 증가… 기술·물류 협력 확대 시동
[기획-무역 FOCUS] 싱가포르 10월 수출 ‘깜짝 성장’… 전자·비전자 모두 두 자릿수 급증
[기획-메르코스코프] 브라질, 대미 관세 충격 속 중국이 구한 ‘수출 균형’…그러나 의존 리스크도 커졌다
[기획-ASEAN 트레이드] 캄보디아, 올해 1~10월 교역액 520억달러 돌파…전년 대비 16%↑
[기획-ASEAN 트레이드] 말레이 3분기 성장률 개선 전망…광업·제조업 회복세 뚜렷
![[기획-글로벌푸드체인] 미, 필리핀 농산물 보복관세 면제…“수출 확대·일자리 보호 효과”](https://img.intrad.co.kr/resources/2025/11/20/1acLfuk60VgktF6Xc6snkvOE55Nxo8ZyJQjcUUVS.jpg)
![[기획-글로벌푸드체인] 미, 필리핀 농산물 보복관세 면제…“수출 확대·일자리 보호 효과”](https://img.intrad.co.kr/resources/2025/11/20/c2zfHcxLoanmLQmtiq4LAN01Bje9sLUzkZYom0Pi.png)
![[기획-글로벌푸드체인] 미, 필리핀 농산물 보복관세 면제…“수출 확대·일자리 보호 효과”](https://img.intrad.co.kr/resources/2025/11/20/sKhlTymhvQRhhk3AUxsZuaimvktzKAZwopJezter.png)
![[기획-글로벌푸드체인] 미, 필리핀 농산물 보복관세 면제…“수출 확대·일자리 보호 효과”](https://img.intrad.co.kr/resources/2025/11/20/6rVsR0n7YZYlAH5IbIcurRX9Ulhp4O7Mey9uusO5.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