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쌀 공급 감소와 엘니뇨의 불확실성 속에서 베트남 쌀 수출 가격이 10년 만에 최고치를 찍었다. 수출 총량과 수익은 지난해에 비해 각각 21%, 32% 증가한 가운데, 특히 필리핀과 인도네시아를 포함한 주요 시장 및 신흥 시장의 수입이 크게 늘면서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베트남 관세총국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쌀 수출량은 420만 톤 이상으로 22억 6,000만 달러에 달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물량은 21%, 금액은 32% 이상 증가한 수치다.
6월 쌀 수출 가격은 톤당 평균 650달러로 5월 대비 9.4%, 전년 동월 대비 20.8% 상승했다. 올해 상반기 쌀 평균 수출 가격은 톤당 약 539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10% 이상 상승하며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농업 농촌 개발부는 급격한 가격 상승의 원인으로 공급량 감소를 꼽았다. 또한 엘니뇨 현상이 심해지자 기후 위기에 대비한 쌀 수입이 늘고 있다.
필리핀과 인도네시아 등 주변국은 다가오는 엘니뇨로 국내 식량 생산에 심각한 차질을 빚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 결과, 올해 첫 5개월 동안 베트남으로부터의 쌀 수입이 두 자릿수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또한 칠레, 튀르키예, 세네갈을 비롯한 신흥 쌀 시장에서도 1,100%에서 1만 6,000%에 이르는 엄청난 수입 증가율을 보였다.
기회 찾은 베트남...쌀 수출 선호도 상승 예상
블룸버그는 이번 주 초 인도 정부가 물가 상승에 대응하고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모든 쌀 품종에 대해 수출 금지를 시행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이에 따라 세계 쌀 가격이 더욱 상승해 베트남 쌀의 가격뿐만 아니라 수출 선호도 측면에서도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베트남 메콩삼각주 껀터에 위치한 한 기업은 수출 주문이 급증하고 향미 쌀 가격이 상승하면서 공급이 수요 증가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쌀 수출 시장은 올해 하반기에 사상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베트남 농업농촌개발부는 내수 및 수출 수요를 모두 충족시키기 위해 고품질 품종뿐만 아니라 단경기 쌀을 적극적으로 재배할 것을 권고했다.
한편, 현재 베트남 쌀은 156개 국가 및 지역에 수출되고 있다.
[기획-ASEAN 트레이드] 태국, 올해 中에 쌀 50만 톤 수출 목표…2026년 쿼터 확대 협상 추진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도네시아, 美와 ‘0% 관세’ 협상 추진…내년 11월 타결 목표
중국 수출 규제에 AI 수요까지 겹쳐…유럽 하프늄 가격, 사상 최고치 육박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65개월 연속 무역흑자…누적 334억 달러 기록
[기획-아프리카 블록] 남아공 수출 물류 ‘회복 신호’…정부·민간 협력 성과 가시화
[기획-MENA 다이버전스] 이란·파키스탄, 교역 100억 달러 목표…FTA 추진 박차
[기획-ASEAN 트레이드] 필리핀 3분기 성장세 둔화 전망…기상 악화·부패 스캔들 ‘이중 부담’
[기획-ASEAN 트레이드] 태국, 연말 재정 집행·수출 호조에 성장률 상향…“내년엔 수출 둔화 불가피”
[기획-ASEAN 트레이드] 네팔 수출 호조 속 전략 품목 비중 2% 감소…‘콩기름 효과’ 한계 드러나
[기획-무역 FOCUS] 튀르키예, 수출 3,900억 달러 돌파…공화국 102주년 맞아 ‘역대 최고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