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의 2분기 경제가 10년 만에 수출량 증가세로, 경기 침체 국면에서 벗어나 회복세로 전환하고 있다.
뉴질랜드 통계청에 따르면, 수출량이 전 분기 대비 6.8% 증가해 2013년 4분기 이후 가장 가파른 상승세를 기록했다. 반면 수입량은 2.8% 감소했다. 이는 순 수출이 해당 분기의 국내총생산(GDP)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분석가들은 4~6월 기간 동안 일본이 미미한 경제 성장을 경험했다는 의견을 점점 더 많이 내놓고 있다. 이는 2022년 마지막 분기와 2023년 첫 분기에 기록된 연속적인 위축에 따른 것이다.
하지만 중앙은행의 전망을 포함한 일련의 전망은 올해 하반기 경제에 더블딥 경기 침체가 닥칠 수 있다. 지난달에는 소매 판매량이 예상보다 더 뚜렷하게 감소했다는 보고서가 발표됐다.
뉴질랜드 통계청은 유제품 수출이 19%나 급증한 것이 수출량 증가를 주도했다고 강조했다. 또한 다른 수출 부문도 성장세를 기록했다.
이러한 물동량 급증은 3분기 연속 수출 가격 상승을 상쇄하는 역할을 했지만, 중국의 경기 둔화는 글로벌 원자재 가격에 계속 압력을 가하고 있다.
무역 지표 측면에서 뉴질랜드는 분기 동안 0.4%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그러나 수입 가격 대비 수출 가격의 하락이 상대적으로 가속화되면서 전년 동기 대비로는 3.6% 하락했다.
[기획-ASEAN 트레이드] 태국, 올해 中에 쌀 50만 톤 수출 목표…2026년 쿼터 확대 협상 추진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도네시아, 美와 ‘0% 관세’ 협상 추진…내년 11월 타결 목표
중국 수출 규제에 AI 수요까지 겹쳐…유럽 하프늄 가격, 사상 최고치 육박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65개월 연속 무역흑자…누적 334억 달러 기록
[기획-아프리카 블록] 남아공 수출 물류 ‘회복 신호’…정부·민간 협력 성과 가시화
[기획-MENA 다이버전스] 이란·파키스탄, 교역 100억 달러 목표…FTA 추진 박차
[기획-ASEAN 트레이드] 필리핀 3분기 성장세 둔화 전망…기상 악화·부패 스캔들 ‘이중 부담’
[기획-ASEAN 트레이드] 태국, 연말 재정 집행·수출 호조에 성장률 상향…“내년엔 수출 둔화 불가피”
[기획-ASEAN 트레이드] 네팔 수출 호조 속 전략 품목 비중 2% 감소…‘콩기름 효과’ 한계 드러나
[기획-무역 FOCUS] 튀르키예, 수출 3,900억 달러 돌파…공화국 102주년 맞아 ‘역대 최고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