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 부족으로 베트남의 쌀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베트남의 5% 쌀 가격은 톤당 623달러에 달해 태국에 비해 7%, 파키스탄에 비해 10.7% 상승했다.
동시에 베트남 내 벼 가격도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일본산 벼는 현재 개당 1만 4,000동에 거래되고 있으며, 베트남 벼는 9,000동으로 가격이 책정됐다. 이는 전례없는 가격 상승이다.
농부들은 쌀 가격 상승의 원인은 수확기가 끝나며 공급량이 줄어들자 상인들이 대량 구매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후인 티 비치 후옌 쌀 무역 기업 응옥꽝팟(Ngoc Quang Phat) CEO는 "일일 쌀 구매량이 전월의 3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들어 공급 부족을 실감하고 있다"며 "공급량 감소가 가격 급등의 원인"이라고 말했다.
올해 첫 9개월 동안 베트남의 쌀 수출은 전년 대비 40.4%의 견조한 성장세를 보이며 36억 6,6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베트남의 쌀 수출은 연말까지 40억 달러로 최고치를 경신할 것으로 예상됐다.
9개월 동안 평균 수출 가격은 톤당 553달러로 전년 대비 14% 상승했다. 그 결과 현지 농부들의 수입은 전년 대비 두 배로 증가했다.
베트남 식품협회는 지속적인 글로벌 공급 제약으로 인해 올해 남은 기간 동안 쌀 가격이 상승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인도네시아, 중국, 필리핀, 터키, 칠레 등 여러 국가가 쌀 수입량을 늘리면서 글로벌 수요 급증에 더욱 힘을 실어주고 있다.
중국 수출 규제에 AI 수요까지 겹쳐…유럽 하프늄 가격, 사상 최고치 육박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65개월 연속 무역흑자…누적 334억 달러 기록
[기획-아프리카 블록] 남아공 수출 물류 ‘회복 신호’…정부·민간 협력 성과 가시화
[기획-MENA 다이버전스] 이란·파키스탄, 교역 100억 달러 목표…FTA 추진 박차
[기획-ASEAN 트레이드] 필리핀 3분기 성장세 둔화 전망…기상 악화·부패 스캔들 ‘이중 부담’
[기획-ASEAN 트레이드] 태국, 연말 재정 집행·수출 호조에 성장률 상향…“내년엔 수출 둔화 불가피”
[기획-ASEAN 트레이드] 네팔 수출 호조 속 전략 품목 비중 2% 감소…‘콩기름 효과’ 한계 드러나
[기획-무역 FOCUS] 튀르키예, 수출 3,900억 달러 돌파…공화국 102주년 맞아 ‘역대 최고치’
[기획-MENA 다이버전스] 이란-오만 교역, 상반기 11% 증가…하반기에도 성장세 지속 전망
[기획-무역 FOCUS] 아마존, 인도 중소기업 수출 200억 달러 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