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오는 8일 '9월 국제수지(잠정)' 집계 결과를 공개한다.
지난 8월 통계에 따르면, 수출 감소폭이 수입 감소를 상회하며 48억 1,000만 달러의 흑자를 기록했다.
5월 이래로 넉 달 연속 흑자를 유지하고 있지만, 올해 누적 경상수지 흑자가 109억 8,000만 달러에 그치면서 작년 동기 대비 약 절반 수준에 머물렀다.
반면, 한국은행은 9월에 상품 수지를 중심으로 흑자가 더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 연간 전망치인 약 270억 달러 달성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내고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9일 하반기 경제전망을 발표한다. 앞서 KDI는 올해 성장률 전망치로 1.5%를 제시했다. 8월 수정 전망에서도 이를 유지했다.
이는 정부와 한국은행, 국제통화기금(IMF)이 제시한 1.4%의 성장률 전망과 비교된다. KDI의 전망치 하향 조정 가능성도 시장의 관심사다.
금융감독원은 7일 '10월 외국인 증권투자 동향'을 공개한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8월과 9월에 각각 1조 1,790억 원, 1조 7,120억 원 규모의 국내 상장 주식을 순매도했다. 10월에도 이러한 경향이 지속되었는지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또한, 금융감독원은 8일 금융복합기업집단의 자본적정성 비율을 공개할 예정이다. 작년 말 기준으로 삼성, 한화, 미래에셋, 교보, 현대차, DB 등 6개 금융복합기업집단의 자본적정성 비율은 186.5%로 전년 대비 39.9%포인트 하락한 바 있다.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65개월 연속 무역흑자…누적 334억 달러 기록
[기획-아프리카 블록] 남아공 수출 물류 ‘회복 신호’…정부·민간 협력 성과 가시화
[기획-MENA 다이버전스] 이란·파키스탄, 교역 100억 달러 목표…FTA 추진 박차
[기획-ASEAN 트레이드] 필리핀 3분기 성장세 둔화 전망…기상 악화·부패 스캔들 ‘이중 부담’
[기획-ASEAN 트레이드] 태국, 연말 재정 집행·수출 호조에 성장률 상향…“내년엔 수출 둔화 불가피”
[기획-ASEAN 트레이드] 네팔 수출 호조 속 전략 품목 비중 2% 감소…‘콩기름 효과’ 한계 드러나
[기획-무역 FOCUS] 튀르키예, 수출 3,900억 달러 돌파…공화국 102주년 맞아 ‘역대 최고치’
[기획-MENA 다이버전스] 이란-오만 교역, 상반기 11% 증가…하반기에도 성장세 지속 전망
[기획-무역 FOCUS] 아마존, 인도 중소기업 수출 200억 달러 돌파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중국 교역, 올해 사상 최대치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