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한국 경제가 설비투자 반등에 힘입어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됐다.
최근 한국금융연구원은 '2023년 금융 동향과 2024년 전망 세미나'에서 경제 성장률이 1.3%에서 2.1%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박춘성 금융연구원 거시경제연구실 실장은 세계 교역 회복에 따른 수출과 설비투자 중심의 성장을 내다봤다. 그러나 성장 핵심 동력에 대한 불확실성과 고금리의 하방 위험을 경고했다.
민간 소비 증가율은 2.1%에서 2.0%로 소폭 감소할 것으로 보이며, 펜트업 효과 감소와 고금리·고물가 영향이 소비 증가세에 제한을 둘 것으로 분석됐다.
건설투자는 주요 선행지표 악화로 올해 2.5%에서 내년 -1.6%로 전환될 전망이다. 그러나 설비투자는 -1.4%에서 3.4%로 반등할 것으로 예상된다. IT 기기 수요 회복과 반도체 수요 증가가 투자 여건 개선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된다.
총수출 증가율은 올해 1.3%에서 내년 2.6%로 상승하며, 총수입은 2.5%에서 2.4%로 소폭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경상수지 흑자는 281억 달러에서 373억 달러로 증가할 전망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3.6%에서 내년 2.4%로 낮아질 것으로 예측됐다. 연구원은 경기회복 미약과 금리 부담, 지정학적 위험 지속 등을 이유로 물가 목표 상회 가능성을 제시했다.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올해 3.6%, 내년 3.5%로 예상되며, 한미 금리 인하 기대 후퇴로 당분간 금리 수준이 높게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원/달러 환율은 올해 1,311원에서 내년 1,297원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며, 연구원은 신중한 환 위험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실장은 내년 정책 방향으로 경기부양보다는 시장 기능을 통한 부채 감축과 구조조정 등의 안정을 목표로 해야 하며, 통화정책은 긴축 방향을 유지하고, 재정정책은 건전 재정 기조를 유지하되 경기 둔화 시 취약계층 지원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65개월 연속 무역흑자…누적 334억 달러 기록
[기획-아프리카 블록] 남아공 수출 물류 ‘회복 신호’…정부·민간 협력 성과 가시화
[기획-MENA 다이버전스] 이란·파키스탄, 교역 100억 달러 목표…FTA 추진 박차
[기획-ASEAN 트레이드] 필리핀 3분기 성장세 둔화 전망…기상 악화·부패 스캔들 ‘이중 부담’
[기획-ASEAN 트레이드] 태국, 연말 재정 집행·수출 호조에 성장률 상향…“내년엔 수출 둔화 불가피”
[기획-ASEAN 트레이드] 네팔 수출 호조 속 전략 품목 비중 2% 감소…‘콩기름 효과’ 한계 드러나
[기획-무역 FOCUS] 튀르키예, 수출 3,900억 달러 돌파…공화국 102주년 맞아 ‘역대 최고치’
[기획-MENA 다이버전스] 이란-오만 교역, 상반기 11% 증가…하반기에도 성장세 지속 전망
[기획-무역 FOCUS] 아마존, 인도 중소기업 수출 200억 달러 돌파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중국 교역, 올해 사상 최대치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