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지난 8월 브라질산 주요 수입품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면서, 브라질 경제에는 ‘대미(對美) 수출 쇼크’가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쏟아졌다.
미국은 여전히 브라질의 두 번째 교역 상대국으로, 농산물·에너지·원자재를 중심으로 안정적인 수요를 제공해온 시장이기 때문이다.
실제 수출 감소는 곧바로 통계로 나타났다. 8월 102억 달러였던 브라질의 대미 수출은 10월 77억 달러로 줄었다. 세 달 사이 약 25억 달러가 증발한 셈이다. 관세율은 일부 핵심 품목 기준으로 50% 안팎까지 치솟았고, 기업들은 갑작스러운 비용 증가와 계약 조정을 동시에 떠안아야 했다.
그럼에도 우려했던 ‘수출 붕괴’ 시나리오는 현실화되지 않았다. 같은 기간 브라질의 대중(對中) 수출이 25.7% 늘어나 271억 달러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이 가운데 증가분만 56억 달러로, 미국 시장에서 발생한 손실분을 오히려 상쇄하고도 남았다. 사실상 중국이 정치적 결정에서 비롯된 관세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장치’ 역할을 한 셈이다.
중국이 ‘완충판’ 역할… 대미 감소분 전액 메워
조정 과정은 매우 실용적이고도 냉정했다. 브라질 수출업계는 세계 최대 수요처인 중국을 정면으로 겨냥해 콩(대두), 쇠고기, 원유 등 기초 품목을 대량으로 돌렸다. 이 세 품목만으로 추가된 대중 수출이 51억 달러에 달했다.
중국 수요가 없었다면 해당 시기 브라질 전체 수출은 사실상 보합 수준에 머물렀을 것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반면 미국을 제외한 나머지 세계 전체로의 수출은 중국을 뺀 경우에는 증가 폭이 크지 않았던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 이외 시장도 일정 부분 숨통을 틔워줬다. 멕시코·칠레·필리핀·러시아 등은 브라질산 쇠고기 수입을 늘렸고, 일본과 네덜란드는 브라질산 커피 구매를 확대했다.
스페인·콜롬비아·아랍에미리트(UAE)는 목재 및 관련 제품을 더 많이 사들이며 틈새 수요를 만들어냈다. 다만 이러한 시장은 규모나 속도 면에서 중국을 대신하기엔 아직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다른 시장도 일부 도움… 그러나 ‘중국 대체’엔 역부족
품목별 명암도 뚜렷했다. 생산 공정 초기 단계에 있는 원자재·기초 농산물은 비교적 손쉽게 판로를 바꿨지만, 부가가치가 높은 가공품·중간재는 새로운 시장 개척에 어려움을 겪었다.
‘수요가 있는 쪽으로 즉시 방향을 튼’ 기초 재화와 달리, 브랜드·기술·규제 대응이 필요한 가공품은 관세 충격에서 더 취약한 구조임이 드러난 셈이다.
이번 사태는 브라질 민간 부문의 대응력을 보여주는 사례이기도 하다. 정부 보조금이나 장기 대책을 기다리기보다, 수출업자와 트레이더들이 스스로 물량을 재배분하고 계약 구조를 손질하며 빠르게 움직였기 때문이다. 정치적 불확실성과 비용 부담이 커진 상황에서도 ‘실적 방어’를 위해 즉각 행동에 나섰다는 평가가 나온다.
기초 재화는 즉각 전환… 가공품·중간재는 ‘취약점’ 드러나
하지만 그 이면에는 새로운 구조적 취약성도 자리 잡고 있다. 브라질의 전체 수출 가운데 약 3분의 1이 단일 파트너인 중국에 집중된 상황이기 때문이다.
중국의 수요 조정이나 수입 규제, 정치·외교적 변수에 따라 브라질 수출이 다시 한 번 큰 출렁임을 겪을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미국발 관세 충격을 중국으로 상쇄한 경험이, 자칫 ‘중국 의존 심화’라는 역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오는 이유다.
전문가들은 향후 10년 브라질의 과제가 단순히 ‘위기 때 빠르게 판로를 바꿀 수 있는가’가 아니라, 어느 정도까지 수출 다변화와 경쟁력 제고에 성공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말한다.
한 대외경제 전문가는 “이번에는 민간의 기민한 대응과 중국 수요 덕분에 충격을 완화했지만, 특정 대형 시장 의존이 심화되면 결국 통상·외교 리스크가 커질 수밖에 없다”며 “지금의 숨 고르기 구간을 활용해 새로운 시장을 넓히고, 가공·고부가가치 분야 경쟁력을 키울 전략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기획-무역 FOCUS] 싱가포르 10월 수출 ‘깜짝 성장’… 전자·비전자 모두 두 자릿수 급증
[기획-메르코스코프] 브라질, 대미 관세 충격 속 중국이 구한 ‘수출 균형’…그러나 의존 리스크도 커졌다
[기획-ASEAN 트레이드] 캄보디아, 올해 1~10월 교역액 520억달러 돌파…전년 대비 16%↑
[기획-ASEAN 트레이드] 말레이 3분기 성장률 개선 전망…광업·제조업 회복세 뚜렷
[기획-글로벌푸드체인] 멕시코, 설탕 수입관세 대폭 인상…“국내 공급과잉 차단·산업 보호”
[기획-글로벌푸드체인] 태국, 글로벌 할랄 시장 공략 속도…“아세안 할랄 허브로 도약해야”
[기획-무역 FOCUS] 필리핀·프랑스, 미 관세 여파 속 양국 교역 확대 모색
[기획-무역 FOCUS]튀르키예 제조업 수출 경기, 1년 반 만에 최고 수준 회복
[기획-MENA 다이버전스] 이란 “우즈베키스탄, 중앙아 연결 핵심 허브”…양국 교역 58% 급증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3분기 GDP 8.23% 급등…수출·제조업 호조가 견인
![[기획-메르코스코프] 브라질, 대미 관세 충격 속 중국이 구한 ‘수출 균형’…그러나 의존 리스크도 커졌다](https://img.intrad.co.kr/resources/2025/11/17/KpDWXezmUWC7HAvzBTT8RbFzRqxc8nbY3iLHsoQ5.jpg)
![[기획-메르코스코프] 브라질, 대미 관세 충격 속 중국이 구한 ‘수출 균형’…그러나 의존 리스크도 커졌다](https://img.intrad.co.kr/resources/2025/11/17/Lm5W6fzGGE7OABAHdtobcrsGZ2YRBb9x9lq896EQ.png)
![[기획-메르코스코프] 브라질, 대미 관세 충격 속 중국이 구한 ‘수출 균형’…그러나 의존 리스크도 커졌다](https://img.intrad.co.kr/resources/2025/11/17/YSBizPEe8pb3MHUB0PrM5UJPMlx7qd870vHmgR19.png)
![[기획-메르코스코프] 브라질, 대미 관세 충격 속 중국이 구한 ‘수출 균형’…그러나 의존 리스크도 커졌다](https://img.intrad.co.kr/resources/2025/11/17/gbXuu2durqCfEL0abeGHdYnIPOCUWRjaY8vPm66w.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