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락세를 이어가던 인도 철광석 수출이 ‘제로’에 가까운 수준으로 감소했다. 수출관세 인상과 주요 거래국인 중국의 경기침체가 주원인으로 꼽혔다.
인도는 지난 5월 철 함유량이 58% 이하인 저급 철광석에 대한 수출관세를 50%로 인상했다.
R.K. 샤르마 인도광물산업연맹(FIMI) 사무총장은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10월 수출은 거의 제로에 가까웠는데, 관세가 유지되는 동안에는 이어질 현상이라고 밝혔다,
FIMI가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5개월 동안 인도의 철광석 수출량은 총 697만t으로 3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인도 국영 철광석 생산업체인 인도 NMDC의 대변인은 인도의 철광석 가격이 수요 감소로 하락했다고 밝혔다. 현재 NMDC의 고순도 철광석 가격은 4월 6,100루피에서 10월 4,100루피로 33% 하락했다.
샤르마 사무총장은 “수출세 인상 외에도 인도의 철광석 최대 구매국인 중국의 경기 둔화가 철강재 해외 수출에 타격을 줄 것”이라며 “겨울철 중국의 철강 생산량이 감소해 철광석 수요가 위축될 수 있다”고 밝혔다.
[기획-MENA 다이버전스] 두바이, 상반기 4.4% 성장…비석유 산업 중심 ‘다변화 가속’
[기획-무역 FOCUS] 중국 수출 8개월 만에 감소…대미 수출 급감이 ‘직격탄’
[기획-아프리카블록] 모로코 항만 물동량 11.2%↑…교역 허브로 부상
[기획-ASEAN 트레이드] 필리핀 의류 수출, 美 관세 압박에도 올해 10억 달러 달성 전망
[기획-ASEAN 트레이드] 태국, 올해 수출 전망 최대 10.5% 상향…“저부가가치 품목 중심, 실질 성장 제한적”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10월 수출 전월 대비 1.5% 감소…미국행 수출도 관세 여파로 하락
[기획-ASEAN 트레이드] 태국, 올해 中에 쌀 50만 톤 수출 목표…2026년 쿼터 확대 협상 추진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도네시아, 美와 ‘0% 관세’ 협상 추진…내년 11월 타결 목표
중국 수출 규제에 AI 수요까지 겹쳐…유럽 하프늄 가격, 사상 최고치 육박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65개월 연속 무역흑자…누적 334억 달러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