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의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회원국 수출이 팬데믹 이후로 눈부신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캄보디아 상무부에 따르면, 올해 첫 4개월 동안 캄보디아의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회원국에 대한 수출은 28억 9,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의 24억 9,000만 달러에서 16% 증가한 수치다.
베트남, 중국, 태국은 1~4월 기간 캄보디아의 3대 RCEP 수출 대상국이었다. 베트남에 11억 8,000만 달러, 중국에 4억 4,000만 달러, 태국에 3억 9,300만 달러 상당의 상품을 수출했다.
뺀 소빗찌어(Penn Sovicheat) 캄보디아 상무부 대변인은 작년 1월 1일에 발효된 RCEP이 펜대믹 이후 캄보디아의 지속적인 무역 성장에 크게 기여했다고 말했다.
소빗찌어 장관은 수출 증가의 원인으로 특혜 관세가 적용되는 RCEP 회원국에 대한 시장 접근성이 개선되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캄보디아가 2028년까지 최빈개도국(LDC) 지위를 졸업하고 2030년까지 중상위 소득 국가, 2050년까지 고소득 국가가 되는 목표를 달성하는 데 RCEP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키 세레이바스(Ky Sereyvath) 캄보디아 왕립아카데미 선임 경제학자이자 중국학 연구소 소장은 RCEP가 개방 시장을 촉진하고 지역 경제 통합을 강화했다고 평가했다. 또 개방적이고 자유로우며 공정하고 포용적인 다자간 무역 시스템을 뒷받침한다고 말했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캄보디아는 필리핀, 베트남과 함께 2023년에 가장 탄탄한 RCEP 3대 경제국 중 하나가 될 것으로 관측됐다. 캄보디아 경제는 올해 베트남과 같은 5.8% 성장할 것으로 점쳐졌다.
한편, RCEP에는 아세안 10개국과 중국, 일본, 한국, 호주, 뉴질랜드 등 5개 교역 상대국 등 아시아 태평양 지역 15개국이 참여하고 있다.
[기획-아프리카블록] 모로코 항만 물동량 11.2%↑…교역 허브로 부상
[기획-ASEAN 트레이드] 필리핀 의류 수출, 美 관세 압박에도 올해 10억 달러 달성 전망
[기획-ASEAN 트레이드] 태국, 올해 수출 전망 최대 10.5% 상향…“저부가가치 품목 중심, 실질 성장 제한적”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10월 수출 전월 대비 1.5% 감소…미국행 수출도 관세 여파로 하락
[기획-ASEAN 트레이드] 태국, 올해 中에 쌀 50만 톤 수출 목표…2026년 쿼터 확대 협상 추진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도네시아, 美와 ‘0% 관세’ 협상 추진…내년 11월 타결 목표
중국 수출 규제에 AI 수요까지 겹쳐…유럽 하프늄 가격, 사상 최고치 육박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65개월 연속 무역흑자…누적 334억 달러 기록
[기획-아프리카 블록] 남아공 수출 물류 ‘회복 신호’…정부·민간 협력 성과 가시화
[기획-MENA 다이버전스] 이란·파키스탄, 교역 100억 달러 목표…FTA 추진 박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