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수입경보 98-06’을 발령해 전자담배를 포함한 새로운 담배 제품이 판매 허가를 받지 않은 경우 국경에서 억류할 수 있도록 조치했다.
FDA에 따르면, 이 경고는 FDA의 ‘적색목록’에 있는 엘프바(ELFBAR), EB디자인(EBDESIGN), 이온스모크(Eonsmoke), 에스코바(Esco Bar), 스틱(Stik) 등 모든 베이핑 제품 브랜드의 수입업체, 제조업체 및 운송업체에 영향을 미치며 중국, 한국, 미국에 적용된다.
제품이 적색목록에 등재된 제품과 동일한 지 여부가 의심스러운 경우, 담배제품센터(CTP)에 문의해야 한다. 제품을 적색목록에 추가하려면 CTP의 동의가 있어야 한다.
또 특정 회사의 제품을 적색목록에서 삭제하려면 해당 회사는 위반이 발생한 조건을 해결했음을 입증하는 충분한 정보를 FDA에 제공해야 한다.
FDA는 규제 절차 매뉴얼(RPM) 9-8장 '신체검사 없는 구금(DWPE)'에서 이에 대한 추가 지침을 제공한다.
수입 경고의 목적은 미국에서 불법 가능성이 있는 제품의 판매를 방지하고, 다른 제품을 검사할 수 있는 기관의 자원을 확보하는 것이다. 아울러 전국적으로 균일한 적용 범위를 제공하고, 제품이 FDA 법률 및 규정을 준수하도록 수입업체에 책임을 묻는 것이다.
앞서 2009년 6월 가족 흡연 예방 및 담배 규제법은 FDA에 담배 제품을 규제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다. 이로써 FDA는 담배, 궐련형 전자담배 및 무연 담배의 제조, 마케팅 및 유통에 대한 주요 연방 규제 기관으로 인정받게 됐다.
2016년 5월 10일에 발표좨 2016년 8월 8일부터 시행된 이 지정 규칙은 전자담배, 시가, 물담배, 파이프 담배와 같은 기타 담배 제품과 그 구성 요소 및 부품을 포함하되 액세서리는 포함하지 않도록 FDA의 권한을 확장했다.
[기획-아프리카블록] 모로코 항만 물동량 11.2%↑…교역 허브로 부상
[기획-ASEAN 트레이드] 필리핀 의류 수출, 美 관세 압박에도 올해 10억 달러 달성 전망
[기획-ASEAN 트레이드] 태국, 올해 수출 전망 최대 10.5% 상향…“저부가가치 품목 중심, 실질 성장 제한적”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10월 수출 전월 대비 1.5% 감소…미국행 수출도 관세 여파로 하락
[기획-ASEAN 트레이드] 태국, 올해 中에 쌀 50만 톤 수출 목표…2026년 쿼터 확대 협상 추진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도네시아, 美와 ‘0% 관세’ 협상 추진…내년 11월 타결 목표
중국 수출 규제에 AI 수요까지 겹쳐…유럽 하프늄 가격, 사상 최고치 육박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65개월 연속 무역흑자…누적 334억 달러 기록
[기획-아프리카 블록] 남아공 수출 물류 ‘회복 신호’…정부·민간 협력 성과 가시화
[기획-MENA 다이버전스] 이란·파키스탄, 교역 100억 달러 목표…FTA 추진 박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