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의 중국 수출 기업 수가 역대 최대로 감소했다. 2022년 기업특성별 무역통계에 따르면, 중국으로 수출한 기업 수는 전년도에 비해 6.1% 감소한 2만 8,370개로 집계됐다. 이는 2010년부터 관련 통계가 시작된 이후 가장 큰 감소율이었다.
전체 수출 기업 중 중국으로 수출하는 기업의 비중은 29.9%로, 역대 최소를 기록했다. 이와 함께, 중국으로의 수출액은 1,554억 달러로 4.5% 감소했으며, 이는 전체 수출액 중 22.8%를 차지했다. 이 역시 역대 최소 비중이다.
반면 전체 수출 기업 수는 0.4% 증가한 9만 5,015개로, 2019년 이후 처음으로 증가를 기록했다. 전체 수출액은 6.1% 증가해 6,821억 달러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기업 규모별로 볼 때, 수출 기업 수는 대기업이 0.4% 증가하고, 중소기업이 0.5% 증가했으나, 중견기업은 1.8% 감소했다. 수출액은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모두에서 증가했으며, 중견기업의 수출액이 처음으로 중소기업의 수출액을 앞서게 됐다.
산업별로는 도소매업 수출 기업 수가 1.4% 증가했으나 광제조업은 1.3% 감소했다. 그러나 수출액은 석유화학과 운송장비 등에서 증가해 광제조업이 전체적으로 5.2% 증가했다.
한편, 2022년 수입 기업 수는 1.6% 감소한 20만 6,329개로 집계됐으나 수입액은 19.4% 증가해 7,236억 달러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이로 인해 2010년부터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후 처음으로 수출액보다 수입액이 더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규모별로는 수입액이 대기업에서 27.9%, 중견기업에서 10.7%, 중소기업에서 5.0% 증가했다. 이는 모든 기업 규모에서 수입이 늘었다는 것을 보여주며, 경제의 활성화를 반영하고 있다.
재화의 성질에 따른 수입액 분석 결과, 원자재는 30.4%, 소비재는 10.7%, 자본재는 7.8% 증가했다. 이는 각각의 성질에 따른 수요 증가를 반영하고 있다.
전체 수출 기업 수와 수출액의 증가는 한국 경제의 회복력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무역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는 한국 기업들의 능력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기획-아프리카블록] 모로코 항만 물동량 11.2%↑…교역 허브로 부상
[기획-ASEAN 트레이드] 필리핀 의류 수출, 美 관세 압박에도 올해 10억 달러 달성 전망
[기획-ASEAN 트레이드] 태국, 올해 수출 전망 최대 10.5% 상향…“저부가가치 품목 중심, 실질 성장 제한적”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10월 수출 전월 대비 1.5% 감소…미국행 수출도 관세 여파로 하락
[기획-ASEAN 트레이드] 태국, 올해 中에 쌀 50만 톤 수출 목표…2026년 쿼터 확대 협상 추진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도네시아, 美와 ‘0% 관세’ 협상 추진…내년 11월 타결 목표
중국 수출 규제에 AI 수요까지 겹쳐…유럽 하프늄 가격, 사상 최고치 육박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65개월 연속 무역흑자…누적 334억 달러 기록
[기획-아프리카 블록] 남아공 수출 물류 ‘회복 신호’…정부·민간 협력 성과 가시화
[기획-MENA 다이버전스] 이란·파키스탄, 교역 100억 달러 목표…FTA 추진 박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