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가 최근 일본 도쿄에서 열린 '2023년도 대일 한국 김 수출 입찰·상담회'에서 작년 대비 61.5% 증가한 1,050억 원 규모의 김 수출계약을 성사시켰다고 발표했다.
이번 행사는 한국수산무역협회와 전국가공해태협동조합연합회 등 김 관련 5개 단체가 주관했으며, 4년 만에 대면으로 개최되어 예년보다 많은 바이어가 참여했다.
특히 최근 몇 년 동안 일본으로의 수출이 감소했던 마른김의 계약이 크게 늘었다. 마른김의 계약액은 475억원으로 작년 대비 109.3% 상승했으며, 계약량은 5억 6,000만 장으로 작년 대비 52.5% 증가했다. 이는 일본의 김 양식 수확량이 부진했던 지난 겨울에 반해, 우리나라의 김 양식과 가공업계가 꾸준히 품질을 개선해 왔던 결과로 분석됐다.
또한 부가가치가 높은 무당조미김과 김 조제품의 합산 계약액과 계약량은 각각 575억 원, 5억 8,000만 장으로 작년보다 35.9%, 14.4% 증가했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일본에서 외식이 줄고 가정식 반찬으로서의 조미김, 김자반 등의 수요가 늘어난 것이 영향을 미쳤다.
조승환 해수부 장관은 이번 입찰·상담회에서 큰 성과를 거둔 것에 대해 기쁨을 표현했다. 특히 그동안 계약이 감소했던 마른김의 출품 상품이 거의 전량 낙찰된 점을 의미 있는 성과로 꼽았다.
[기획-아프리카블록] 모로코 항만 물동량 11.2%↑…교역 허브로 부상
[기획-ASEAN 트레이드] 필리핀 의류 수출, 美 관세 압박에도 올해 10억 달러 달성 전망
[기획-ASEAN 트레이드] 태국, 올해 수출 전망 최대 10.5% 상향…“저부가가치 품목 중심, 실질 성장 제한적”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10월 수출 전월 대비 1.5% 감소…미국행 수출도 관세 여파로 하락
[기획-ASEAN 트레이드] 태국, 올해 中에 쌀 50만 톤 수출 목표…2026년 쿼터 확대 협상 추진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도네시아, 美와 ‘0% 관세’ 협상 추진…내년 11월 타결 목표
중국 수출 규제에 AI 수요까지 겹쳐…유럽 하프늄 가격, 사상 최고치 육박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65개월 연속 무역흑자…누적 334억 달러 기록
[기획-아프리카 블록] 남아공 수출 물류 ‘회복 신호’…정부·민간 협력 성과 가시화
[기획-MENA 다이버전스] 이란·파키스탄, 교역 100억 달러 목표…FTA 추진 박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