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채널

[기획-ASEAN 트레이드] 국제무역 규모는 감소, 그러나 수출은 선방...캄보디아, 무역 동향 해석

최지혁│Mark Lamer 2023-06-12 00:00:00

수출, 전반기 대비 1% 이상 증가
국내 생산 능력 증가로 수입 감소
5월 수출은 19억 4,9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7.94%, 전월 대비 5.82% 증가했다.MSC
5월 수출은 19억 4,9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7.94%, 전월 대비 5.82% 증가했다.MSC

캄보디아 수출이 소폭 증가하고 무역적자는 큰 폭으로 감소했다. 이런 흐름이라면 하반기에는 긍정적인 변화를 기대해볼 수 있다는 평가다. 

최근 캄보디아 관세총국(GDCE)이 2023년 첫 5개월 동안 국제 무역 규모가 192억 9,300만 달러에 달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전년 대비 14.14% 감소한 수치로 2022년 하반기보다는 반기 대비 7.96% 감소했다.

[기획-ASEAN 트레이드] 국제무역 규모는 감소, 그러나 수출은 선방...캄보디아, 무역 동향 해석
캄보디아 연도별 무역수지. 테이크프로핏

그러나 같은 기간 무역적자가 크게 감소하고 수출이 전반기 대비 1% 이상 증가해 캄보디아의 국제 무역이 상승할 가능성을 보였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5월 수출은 91억 8,3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43% 감소했지만 전반기 대비로는 1.15% 증가했다.

같은 기간 수입은 101억 9,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2.58% 감소했으며 반기 대비로는 14.92% 감소했다. 무역적자는 전년 대비 74.60%, 반기 대비 66.99% 감소한 9억 2,560만 8,000달러를 기록했다.

[기획-ASEAN 트레이드] 국제무역 규모는 감소, 그러나 수출은 선방...캄보디아, 무역 동향 해석
캄보디아 수출 추이 트레이딩이코노믹스

국내 생산 능력 증가가 미치는 효과

캄보디아 왕립 아카데미의 경제학자 홍 바낙은 캄보디아의 국제 무역량 감소는 국내 생산 능력 증가로 인한 수입 감소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국내 생산이 증가하면 국제 시장에 더 많은 상품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무역량 감소가 캄보디아의 경제 성장에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그는 캄보디아의 경제 지표가 무역 수지 개선 등 더 밝은 미래를 가리키고 있다고 말했다.

관세총국은 5월 캄보디아의 국제 무역 규모가 41억 2,3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4.28% 감소했지만 전월 대비로는 5.70% 증가했다고 보고했다. 

1~5월 수출은 91억 8,3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43% 감소했다. CMA CGM
1~5월 수출은 91억 8,3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43% 감소했다. CMA CGM

5월 수출은 19억 4,9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7.94%, 전월 대비 5.82% 증가했다. 수입은 21억 8,2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27.59% 감소했지만 전월 대비로는 5.58% 증가했다.

훈센 총리는 올해 캄보디아의 경제 성장률이 2022년 5.2%에서 약 5.6%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작년 캄보디아의 국제 상품 교역액은 524억 2,500만 달러로 2021년 대비 9.19% 증가했으며 2015년 대비 174.55% 증가했다.

Copyright ⓒ 국제통상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