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수출이 소폭 증가하고 무역적자는 큰 폭으로 감소했다. 이런 흐름이라면 하반기에는 긍정적인 변화를 기대해볼 수 있다는 평가다.
최근 캄보디아 관세총국(GDCE)이 2023년 첫 5개월 동안 국제 무역 규모가 192억 9,300만 달러에 달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전년 대비 14.14% 감소한 수치로 2022년 하반기보다는 반기 대비 7.96% 감소했다.
그러나 같은 기간 무역적자가 크게 감소하고 수출이 전반기 대비 1% 이상 증가해 캄보디아의 국제 무역이 상승할 가능성을 보였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5월 수출은 91억 8,3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43% 감소했지만 전반기 대비로는 1.15% 증가했다.
같은 기간 수입은 101억 9,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2.58% 감소했으며 반기 대비로는 14.92% 감소했다. 무역적자는 전년 대비 74.60%, 반기 대비 66.99% 감소한 9억 2,560만 8,000달러를 기록했다.
국내 생산 능력 증가가 미치는 효과
캄보디아 왕립 아카데미의 경제학자 홍 바낙은 캄보디아의 국제 무역량 감소는 국내 생산 능력 증가로 인한 수입 감소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국내 생산이 증가하면 국제 시장에 더 많은 상품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무역량 감소가 캄보디아의 경제 성장에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그는 캄보디아의 경제 지표가 무역 수지 개선 등 더 밝은 미래를 가리키고 있다고 말했다.
관세총국은 5월 캄보디아의 국제 무역 규모가 41억 2,3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4.28% 감소했지만 전월 대비로는 5.70% 증가했다고 보고했다.
5월 수출은 19억 4,9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7.94%, 전월 대비 5.82% 증가했다. 수입은 21억 8,2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27.59% 감소했지만 전월 대비로는 5.58% 증가했다.
훈센 총리는 올해 캄보디아의 경제 성장률이 2022년 5.2%에서 약 5.6%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작년 캄보디아의 국제 상품 교역액은 524억 2,500만 달러로 2021년 대비 9.19% 증가했으며 2015년 대비 174.55% 증가했다.
[기획-아프리카블록] 모로코 항만 물동량 11.2%↑…교역 허브로 부상
[기획-ASEAN 트레이드] 필리핀 의류 수출, 美 관세 압박에도 올해 10억 달러 달성 전망
[기획-ASEAN 트레이드] 태국, 올해 수출 전망 최대 10.5% 상향…“저부가가치 품목 중심, 실질 성장 제한적”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10월 수출 전월 대비 1.5% 감소…미국행 수출도 관세 여파로 하락
[기획-ASEAN 트레이드] 태국, 올해 中에 쌀 50만 톤 수출 목표…2026년 쿼터 확대 협상 추진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도네시아, 美와 ‘0% 관세’ 협상 추진…내년 11월 타결 목표
중국 수출 규제에 AI 수요까지 겹쳐…유럽 하프늄 가격, 사상 최고치 육박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65개월 연속 무역흑자…누적 334억 달러 기록
[기획-아프리카 블록] 남아공 수출 물류 ‘회복 신호’…정부·민간 협력 성과 가시화
[기획-MENA 다이버전스] 이란·파키스탄, 교역 100억 달러 목표…FTA 추진 박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