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 에너지시장청(EMA)이 지난 24일 베트남에서 주로 풍력 발전을 통해 1.2기가와트(GW)의 전력을 수입하는 계획을 잠정적으로 승인했다.
EMA에 따르면, 올해 초 캄보디아의 1GW 수입 계획과 인도네시아의 2GW 사업에 대한 사전 승인에 이어 세번째다.
프로젝트는 싱가포르의 셈코프유틸리티(SCU)와 베트남 국영 페트로베트남테크니컬서비스코퍼레이션(PTSC)의 협력으로 약 1,000킬로미터에 달하는 해저 전력 케이블을 개발한다.
지난 2월 팜 민 친 베트남 총리가 싱가포르를 공식 방문했을 때 PTSC와 SCU간의 파트너십이 결정됐다. 공동 투자 계약은 베트남의 해양 재생 에너지원을 싱가포르에 수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두 기관은 베트남의 해상 풍력 발전 단지에도 투자한다. 시설은 약 2.3GW의 용량을 자랑하며, 고전압 지하 케이블을 통해 싱가포르에 전기를 직접 송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SCU는 필요한 승인을 기다리고 있으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베트남 해상 풍력 발전 단지는 2033년에 가동을 시작한다.
한편, 싱가포르는 2050년까지 탄소 순배출 제로를 달성하기 위해 2035년까지 전력 수요의 30%를 청정 에너지원에서 조달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TBI, “2030 청정전력 고수 땐 경제 흔들”…英 에너지 정책 논쟁 확산
인도 정부, 에너지 자립 가속…국영 석유사들, 정유·가스 인프라 확장에 대규모 자금 투입
트럼프 “러시아 원유 중단” 압박에 인도, 미산 에너지 협력 강화
러시아 산업계, 전시경제의 그늘 속 ‘강제 휴직’ 확산…제조업 전반에 구조조정 바람
EIA, 원유·제품 재고 증가 속 유가 하락…시장 불안정성 확대
이란 NIDC, 상반기 석유·가스정 67개 시추 완료…'국산화·장비 현대화 가속'
[기획-무역 FOCUS] 인도-러 원유 거래 ‘그림자 선박’ 급증…제재 회피 경로 본격화
이란-터키, 교역 감소에도 불구하고 경제 협력 강화…비석유 수출·자유무역지대·운송 인프라 협력 다각화
골드만삭스, 2026년까지 원유 공급 과잉 190만 배럴 예상
중국, 브라질 에너지·석유에 수십억 달러 투자…'재생에너지와 화석연료 병행 전략'